문학평론

⑨ 김선우 시집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

시인 최주식 2012. 4. 9. 21:22

정강현 기자의 문학사이 ⑨ 김선우 시집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

오래도록 여에 속했던 여를 위하여

김선우
시인의 일은 다른 이의 마음을 쓰다듬는 것. 그러나 수십 편의 시를 읽어도 끝내 추스를 수 없는 마음도 있지. 그런 적 있었지. 내 마음을 내가 해명할 수 없는 그런 때. 언어가 겨우 감당할 수 있는 표현은 ‘쓸쓸하다’ 정도겠지. 그런데 이 ‘쓸쓸하다’는 내 마음 상태를 온전히 증언하는 걸까.

 착각이었지. ‘쓸쓸하다’는 마음 상태를 증언하는 형용사가 아니었던 게지. 김선우 시인이 얼마 전 내놓은 시집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창비)에서 그 비의(秘意)를 깨쳤지. 시인이 가르쳐준 ‘쓸쓸하다’의 비의는 이런 것.

 ‘쓸쓸하다,는 형용사/하지만 이 말은/틀림없는 마음의 움직임//쓸쓸하다,를/동사로 여기는 부족을 찾아/평생을 유랑하는 시인들//유랑이 끝날 때/시인의 묘비가 하나씩 늘어난다’(쓸쓸하다- 그림자의 사전3)

 마음이란 그런 것이지. 매 순간 흔들리고 매 순간 위태롭지. 쓸쓸함이란, 어지럽게 움직이는 마음이지.

그러므로 시인이란, ‘쓸쓸하다,를 동사로 여기는 부족을’ 치유하는 마음의 의료진. 평생 남의 마음을 치유하느라 유랑하고, 때로는 대신 아프고 대신 괴로운 이들. 그 고된 유랑이 끝나고서야 시인은 비로소 잠들지.

 의료진에 전공의가 따로 있듯, 시인에게도 전문 분야가 있지. 김선우는, 이를테면, 여(女)와 여(餘)의 전공 시인. 여성의 고유성을 보드랍게 보살피고, 사회적 소수파의 목소리를 헌걸차게 담아내지.

 ‘신문을 보는데 ‘여’가 나를 꼬나본다/백여명 천여명/삼만여 십만여 육백만여 오천만여/모든 집계에는 언제나 ‘여’가 있다//…//누구도 ‘여’에 속하고 싶지 않지만/대다수는 ‘여’가 될 수밖에 없는 산술법을/태생으로 가진 무엇인가의 뱃속,/우리는 컴컴하게 처박힌 것 같은데//…’(‘여’에게)

 대다수의 ‘여(餘)’는 태생으로 ‘주(主)’인 이들에게 컴컴하게 처박히지. 누구도 ‘여’를 자원한 적은 없는데, 세상이 그렇게 정해버렸지. ‘‘여’에 속한 것들까지 신경 쓸 겨를이’ 없는 세상에서, 시인은 ‘여’를 찾아 유랑하지. 시인이 아니었다면, 겨우 살아남은 것들의 목소리는 누가 담아낼까.

 ‘일년에 한번 자궁경부암 검사 받으러 산부인과에 갈 때/커튼 뒤에서 다리가 벌려지고/차고 섬뜩한 검사기계가 나를 밀고 들어올 때/세계사가 남성의 역사임을 학습 없이도 알아채지//여자가 만들었다면 이 기계는 따뜻해졌을 텐데/최소한 예열 정도는 되게 만들었을 텐데/그리 어려운 기술도 아닐 텐데//…’(하이파이브)

 ‘여’를 찾는 시인의 유랑은 이곳에서 멈칫 했지. 산부인과에서 시인의 다리 사이로 밀고 들어오는 차가운 기계. 시인은 간호사에게 물었지. ‘이 기계 말이죠 따뜻하게 만들면 좋지 않겠어요?’ 처음 본 간호사에게 한마디 한 순간 손바닥이 짝 마주쳤지.
 
 세계사를 주물렀다는 남성들은 모르지. 오래도록 여(餘)에 속한 여(女)의 경쾌한 연대감. 다 알 순 없어도, 둔한 남성 독자도 마음이 움직였지. 여(餘)인 여(女)에게 염치 없는 손바닥을 내밀고 싶어졌지. 하이파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