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영희 서강대 영문과 교수
새삼 생각해 보니 ‘골목길’이라는 말을 들어본 것조차 참 오랜만이다. 어렸을 때 우리 집도 골목길 안에 있었다. 방과 후에 그 골목길은 늘 아이들로 북적댔다. 놀이기구 하나 없어도 숨바꼭질, 공기놀이, 고무줄놀이…. 하나도 궁한 것 없이 잘 놀았고 때로는 죽기 살기로 엉켜 붙어 싸우기도 했다. 엄마들은 저마다 자기 아이들 울음 소리를 기억해서 창 너머로 아이 우는 소리가 나면 튀어나와 때로는 엄마들 싸움이 되기도 하지만, 다음날이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 골목길엔 다시 평화가 찾아오고 세상에서 제일 아늑하고 멋진 놀이터가 된다.
점심식사 끝나고 영문과를 문학과 문화전공으로 분리하는 과 회의에 들어가야 한다고 하자 친구가 말했다.
“문화학과가 생기는구나. 근데 사실은 골목길이야말로 진짜 문화의 시작인데 말이야.”
골목길이 문화의 시작? 의아해하는 내게 친구가 말했다. “매튜 아널드, 레이먼드 윌리엄스, 다 멋진 문화이론가들이지. 하지만 결국 똑같이 하고 있는 말은 문화는 인간과 인간을 연결해주는 고리라는 거야. 혼자만의 문화는 없어. 함께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함께 선해질 때 그 집단 고유의 문화가 생기는 거야. 그러니까 문화의 기본적인 조건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소통이라는 거지.”
친구가 말하는 문화는 1947년 백범이 ‘나의 소원’이라는 글에서 말한 문화와 일맥상통한다.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해방 직후 그 어렵고 가난한 시절 백범이 말했던 ‘문화의 힘’은 사뭇 생뚱맞게까지 들린다. 하지만 정확히 60년이 흐른 지금 ‘문화’는 시대의 코드가 되었다. 대학에는 새로 문화 관련학과가 생기고 하다못해 음주문화, 화장실문화까지 아무 단어에나 문화라는 말을 붙여도 어색하지 않고, 여기저기 문화 이벤트도 봇물을 이룬다. 그럼 정말 우리는 지금 백범이 말하는 행복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에서 살고 있는가. 선뜻 그렇다는 대답이 안 나온다.
이제는 가슴속에 아스라이 추억으로만 남아 있는 골목길. 따지고 보면 어렸을 때 우리는 골목길에서 울고 웃고 싸우고 놀며 ‘문화’의 기본조건, 즉 함께 살아가는 법을 배웠다. 한데 지금 우리는 분명 더 넓고 더 좋은 세상에 살고 있는데 왠지 그때만큼 행복하지 못한 것 같다. 어릴 적 그 좁은 골목길은 참 넓고 따뜻하고 늘 ‘함께’였는데 지금은 이 넓은 길, 넓은 도시,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우리는 마음 답답하고 황량하게 혼자 서 있다.
부자 나라, 강한 나라, 세계 최고의 IT 강국이 되기 위해 더 큰 것, 더 빠른 것, 더 좋은 것만 향해 열심히 뛰며, 우리는 중간 어딘가에 무언가를 두고 온 것 같다. 꼬불꼬불 호두 속 같은 골목길은 불가피하게 없어졌지만, 따뜻하고 정다운 골목길 문화는 그대로 가져올 것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를 위하여.
'수필(신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내 마음의 일자진 (0) | 2009.12.06 |
---|---|
[정진홍의 소프트파워] 너의 길을 만들어라 (0) | 2009.12.06 |
[정진홍의 소프트 파워] 육영수의 추억 (0) | 2009.12.06 |
[오늘과 내일/최영훈]건배사 스트레스 (0) | 2009.12.03 |
[양상훈 칼럼] 어느 재벌가의 원정 출산양상훈 논설위원 (0) | 200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