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으로 시작해 인용으로 끝나는 글을 싫어한다. 인용의 거대한 무덤 같은 글을 보면 숨이 막힌다. 저절로 인용이 될 것이기에 가능하면 읽지 않으려고 애썼고 읽더라도 기억하지 않으려고 끄트머리엔 술을 마셨다. 오래된 책 귀퉁이에 적힌 메모다.
예나 지금이나 명료한 글을 쓰지 못하는 한심함은 여전하여 논지가 헛갈린다. 술을 더 많이 마시기 위해 개발한 논리 같지는 않고 아마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반드시 있다는, 오로지 내 통찰만으로 세상을 표현하고 싶다는 욕심이 쓴 글 같다. 지금은 이런 무식한 생각 절대 안 한다.
베끼기를 제대로 보여준 인물은 셰익스피어다. 셰익스피어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로미오와 줄리엣'은 7세기경 페르시아의 민담 '레일라와 메즈눈'을 '통째로' 가져다 쓴 것이다(기타리스트 에릭 클랩턴의 명곡 레일라가 바로 이 레일라다).
로미오와 줄리엣은 뮤지컬 '웨스트사이드 스토리'로 다시 태어난다. 웨스트사이드 스토리의 뮤직 비디오 버전이 마이클 잭슨의 '빗 잇(beat it)'이다. 시대와 장르를 바꿔가며 참 신나게들 베낀다. 하긴 둘은 사랑하는데 부모는 서로 싫어해, 하는 설정은 한 집 건너 있는 풍경이기는 하다. 즉 베끼는 일은 작가의 기량에 따라 걸작과 모조품으로 갈리는 것이지 그것 자체로 하자가 있는 창작 방법은 아니라는 말씀이다.
베끼기의 또 다른 방법은 잘 '엮는' 것이다. '영업 비밀'을 하나 털어놓자면 원고 청탁이 들어오면 일단 블로그와 카페를 검색한다. 열 개 정도면 청탁받은 소재에 관한 거의 모든 '정보'가 잡힌다. 소생이 하는 일은 이걸 죄 퍼온 다음에 중복과 근거 희박을 걷어내고 인물이나 사건 하나를 주인공 삼아 흐름을 재배치한 후 내 말투로 바꾸는 것이다. 딱 그게 전부로 짧으면 한나절, 길어야 사흘이다.
실은 이거 다산 정약용에게서 배운 거다. 다산은 유배 생활 18년 동안 책을 500권 썼다. 일 년에 28권꼴인데 무협지도 아니고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 다산의 책은 새로운 내용을 다루기보다 기존 책에서 정보를 뽑아 재배치한 것이 대부분이다. 읽다가 중요한 구절이 나오면 종이에 옮겨 적는 것을 초서(抄書)라고 하는데 다산은 읽는 틈틈이 이렇게 초서를 해 두었다가 관련 있는 것끼리 모아 재배치한 다음 멋진 제목을 달고 마지막으로 저자 정약용이라고 써 넣었다. 읽기와 동시에 창작이 이루어지는 다산식 다산(多産) 비법이다. 유배지에서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보면 "왜 남의 저서에서 요점을 뽑아내어 책을 만드는 방법을 의심하느냐" 질책하는 대목까지 나온다. 남의 것을 베끼는 것에 탁월했던 사람의 방식을 베낀 것이니 나중에 만나도 뭐라고 하지는 않을 것 같다.
'베끼기 위해 아침부터 저녁까지 읽었노라. 베껴 적은 것이 무슨 뜻인지 알기 위해 그 열 배의 시간을 썼으며 베낀 것 중 모르는 단어를 알기 위해 또 그만큼을 썼다. 이런 경로로 베끼고 나니 그 베낀 것이 베낀 것인지 애초부터 내가 생각한 것인지 구별이 되지 않았다'고 메모하여 책에 끼워두었다. 나중에 다시 보면 어떤 느낌일지 궁금하다. 그나저나 영업 비밀을 대대적으로 공개했으니 청탁 끊기면 어쩌나. 입 싼 놈 밥 굶기 십상이랬는데.
'수필(신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삶의 향기] 자리이타, 지리산에서 행복을 노래하다 (0) | 2013.06.27 |
---|---|
고전은 내 친구 <30>'벽암록' (0) | 2013.06.12 |
'나' 잘났으면, '걔'도 잘났다/박은주 (0) | 2013.01.01 |
[삶의 향기] 식물성 부부 (0) | 2012.06.21 |
자원봉사로 행복하기 / 최주식 (0) | 201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