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춘문예 당선詩

서울디지털대학 사이버문학상 당선작/발바닥 외 4편/이언주 (본명 이은영)

시인 최주식 2010. 2. 22. 23:57

발바닥 외 4편 / 이언주 (본명 이은영)

   

전복을 씻는다

칼등이 스칠 적마다 움찔거리는 발바닥

겹겹 눌어붙은 찌든 때가 밀려나온다

파도를 등에 지고 거친 바위를 걸었을

단단한 바닥 하얗게 드러난다

군데군데 부비트랩 숨어 있던 아버지의 길은

언제나 가슴 졸여야 했고

피딱지 엉겨 붙은 물집 잡힌 발바닥엔

뜨거운 슬픔이 고여 있었다

늦은 밤 고단한 아버지 몸이 앓는 소리에

단칸방 문풍지가 파르르 떨리곤 했다

있는 힘을 다해 껍질에 몸 붙인 전복

예리한 칼끝이 멍든 핏줄기를 건드렸는지

푸른 내장 주르르 흐른다

전복 등껍질 벗겨내자

주름 굳은 발바닥 내력이 읽힌다

때 절은 거뭇한 패각 안쪽에

아버지의 한 생애 어룽져 있다

 

여자만汝自灣 / 이언주

 

뻘배 탄 아마조네스 꼬막껍질을 밟고

태고적 자궁 속으로

밀림 같은 아득한 세월 달려 나온다

여자만의 사내들은 뻘 밖에서 불을 쬐거나

꼬막을 구워 소주를 마신다

세상의 문 닫는 시간 안개주렴 발을 내린다

나문재 꽃무늬 속치마 축축이 젖어온다

바람도 없는 바다호수 밤새 뭍의 허리 껴안고

아랫도리 뻐근해지도록 자맥질하는 바다

구멍마다 드러누운 파도 호흡이 거칠다

움트는 꽃잎, 검은 자궁 들썩인다

달이 여문다

여명의 문고리 잡고 몸 푸는 만삭의 여자만

양수 터진 갯벌은 질펀한 해산을 하고

태를 자른다

딱딱한 껍질 열고 젖꼭지 찾는 여린 혓바닥들

스멀스멀 뒷걸음질 치는 바다

첫국밥 들인 여자만에

해미가 빠진다

 

충만한 밤을 지낸

여자만 여자들

뻘배를 타고 또 하루 문을 연다

 

꽃 없는 포구 花浦에 흐드러지게 참꽃 핀다

 

빨래경전 / 이언주

 

어머니

지겹지 않으세요

아침마다 손으로 읽는

그 페이지

오늘은 세탁기에서 읽어요

비누거품 풍선 불면

얼룩 팡팡 터져요

통돌이 난타 두드려요

온 가족 윙윙 부비부비 춤 춰봐요

우주로 밥상 날린 아버지 외박한 오빠

다 함께 차차차,

어깨를 흔들어요

온 가족 신나게 트위스트

늘어진 브래지어 고리 물고 림보 해봐요

막내 새까만 발바닥 요리조리 헤엄쳐요

벨 울려도 허리 굽히지 마세요

스텝 꼬인 빨래 쏙쏙 뽑아

비행기를 날려요

 

한 장 더 넘기면

어머니, 햇살 눈부셔요

 

하관 / 이언주  

 

볕 좋은 선산발치

가묘 걷어낸 네 귀 반듯한 방에

아버지를 모신다

하관 밧줄 내리자

흰 국화 꽃송이 가슴에 얹고

상두꾼 올리는 흙밥 받으신다

달구질로 꾹꾹 눌러 쌓아올린 고봉

어머니 자분자분 어루만지니

아버지 두 다리 쭉 펴신다

새로 지은 봉분에 향 피워 혼백 부르고

메 올려 잔 친다

형제들 차례로 줄지어 엎드린다

크고 작은 등 산맥처럼 이어지는

한 家系 그윽하게 읽고 계시는 아버지

고향동네 내려 보이는 금당 산마루

양지바른 푸른 집에 언제든 다녀가라

갈참나무 가지 흔들어 눈짓 하시고

청솔 누비는 시원한 바람소리에

밝은 잠 드신다

 

미로 찾기 / 이언주

 

길을 잃었다

환한 통로에서 길과 엉켜버린 발

오르던 계단을 돌아서 내려가자

지하의 동굴이 迷路인지

좀 전 플랫폼이 건너편이다

빛 속으로 달려 나온 전동차는

멀미처럼 @@골뱅이를 쏟아놓는다

컴퓨터 화면을 누비던 핏발들이 몰려나와

지루한 반복 음으로 바닥을 두드린다

사방으로 뚫린 迷路에서

사람들은 未路 속으로 떠밀려간다

길눈 어두운 나는

낯설고도 익숙한 경계에서

아직도 두리번거리고

벽에 걸린 지도는 명쾌하다

길을 잃는다는 것은

길을 찾는다는 것

지하철 진동이 무겁게 닿았다

또 떠나고

몰려오는 발자국 소리들

미로를 빠져나간다

 

 

[시 - 심사평]

 

  서울디지털대학교 문예창작학부와 계간 “시작”에서 주관하는 2010년 서울디지털대학교 사이버문학상에는, 모두 613명이라는 많은 분들이 응모해주었다. 서울디지털대학교 사이버문학상의 위상을 실감하는 숫자라고 생각된다. 대체적인 작품 경향은, 최근 세태에 민감하게 편승하기보다 각자의 경험적 구체성을 바탕으로 언어 미학의 완성을 꾀하려는 의욕이 많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를 할 만하다. 하지만 작품의 완성도나 미적 충실성에서는 아직도 미흡한 부분이 많아 앞으로 더욱 정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 가운데 심사위원들은 다음과 같이 당선작과 가작을 결정하였다. 심사위원의 이목을 끈 시편은, 응모자의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밝히면 박은영, 안진영, 이언주, 이필은, 최정 씨의 작품이었다. 이분들의 작품이 마지막까지 심사위원의 선택을 주저하게끔 하였다. 이분들의 시편은 유려한 언어와 함께 안정된 시상을 보여주어 여러 모로 긍정적 반응을 얻어내었다. 말을 이끌어가는 힘과 이미지 조형에서도 만만찮은 역량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더러는 작품들 사이의 균질성이 떨어지고, 더러는 아직 완결성에서 미흡하였고, 더러는 신인으로서 패기가 모자라 다음 기회를 기다리기로 합의하였다. 당선작으로 뽑힌 이언주 씨는, 단정한 언어 감각과 삶을 바라보는 짙은 페이소스가 결합되어 있는 안정된 시세계를 보여주었다. 우리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의 구체적 삶과 감각이 잘 녹아 있어서 미더웠다. 시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능력도 탄탄한 훈련 과정을 입증해 보여주었다. 응모작 전체를 관철하는 균질성이 시적 능력을 신뢰하게끔 하였다. 가작으로 뽑힌 안진영 씨는, 일상 속에서 가장 구체적 삶의 모습을 노래하는 지향이 매우 반가웠다. 그리고 경험적 구체성 속에 심미적 감각을 활달하게 살려 재생하고 배열하는 언어적 힘이 관찰되었다는 점을 부기하고 싶다. 당선하신 분들에게 축하를, 마지막까지 논의된 분들께는 위로의 말씀을 전해드린다. 앞으로 더욱 완성도 높은 작품들이 많이 나와, 서울디지털대학교 사이버문학상의 위상을 점점 더 높여가기를 힘껏 기원해본다.

심사위원 : 이재무(시인), 유성호(문학평론가, 한양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