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망이 깎던 노인 / 윤오영
벌써 40여 년 전이다. 내가 갓 세간난 지 얼마 안 돼서 의정부에 내려가 살 때다. 서울 왔다 가는 길, 청량리역으로 가기 위해 동대문서 일단 전차를 내려야 했다. 동대문 맞은편 길가에 앉아서 방망이를 깎아 파는 노인이 있었다. 방망이를 한 벌 사가지고 가려고 깎아 달라고 부탁했다. 값을 굉장히 비싸게 부르는 것 같았다. 좀 싸게 해 줄 수 없느냐고 했더니,
"방망이 하나 가지고 에누리하겠소? 비싸거든 다른 데 가 사우."
대단히 무뚝뚝한 노인이었다. 더 깎지도 못하고 잘 깎아 달라고만 부탁했다. 그는 잠자코 열심히 깎고 있었다. 처음에는 빨리 깎는 것 같더니, 저물도록 이리 돌려보고 저리 돌려 보고 꿈뜨기 시작하더니, 이내 마냥 늑장이다. 내가 보기에는 그만하면 다 됐는데 자꾸만 더 깎고 있다.
인제 다 됐으니 그냥 달라고 해도 못 들은 척이다. 차 시간이 바쁘니 빨리 달라고 해도 통 못들은 척이다. 사실 차 시간이 빠듯해 왔다. 갑갑하고 지루하고 인제는 초조할 지경이다.
"더 깎지 아니해도 좋으니 그만 달라."
고 했더니, 화를 버럭 내며,
"끓을 만큼 끓어야 밥이 되지, 생쌀이 재촉한다고 밥 되나."
나도 기가 막혀서
"살 사람이 좋다는데 무얼 더 깎는다는 말이오. 노인장 외고집이시구먼. 차 시간이 없다니까."
노인은 퉁명스럽게,
"다른 데 가 사우. 나는 안 팔겠소."
하고 내 뱉는다. 지금까지 기다리고 있다가 그냥 갈 수도 없고 차 시간이 어차피 틀린 것 같고 해서, 될 대로 되라고 체념할 수밖에 없었다.
"그럼 마음대로 깎아 보시오."
"글쎄 재촉을 하면 점점 거칠고 늦어진다니까. 물건이란 제대로 만들어야지 깎다가 놓치면 되나."
좀 누그러진 말씨다. 이번에는 깎던 것을 숫제 무릎에다 놓고 태연스럽게 곰방대에 담배를 담아 피우고 있지 않은가. 나도 그만 지쳐 버려 구경꾼이 되고 말았다. 얼마 후에 노인은 또 깎기 시작한다. 저러다가는 방망이는 다 깎아 없어질 것만 같았다. 또, 얼마 후에 방망이를 들고 이리저리 돌려 보더니 다 됐다고 내준다. 사실 다 되기는 아까부터 다 돼 있던 방망이다.
차를 놓치고 다음 차로 와야 하는 나는 불유쾌하기 짝이 없었다.
'그 따위로 장사를 해 가지고 될 턱이 없다. 손님 본위가 아니고 제 본위다. 그래 가지고 값만 되게 부른다. 상도덕도 모르고 불친절하고 무뚝뚝한 노인이다.'
생각할 수록 화증(火症)이 났다. 그러다가 뒤를 돌아보니 노인은 태연히 허리를 펴고 동대문 지붕 추녀를 바라보고 섰다. 그 때, 그 바라보고 섰던 옆모습이 어딘지 모르게 노인다워 보이고 부드러운 눈매와 흰 수염에 내 마음은 약간 누그러워졌다. 노인에 대한 멸시와 증오도 감쇄(減殺)된 셈이다.
집에 와서 방망이를 내놨더니 아내는 이쁘게 깎았다고 야단이다. 집에 있는 것보다 참 좋다는 것이다. 그러나 나는 저의 것이나 별로 다른 것 같지가 않았다. 그런데 아내의 설명을 들어보면, 배가 너무 부르면 힘들어 다듬다가 옷감을 치기를 잘 하고, 같은 무게라도 힘이 들며, 배가 너무 안 부르면 다듬이살이 펴지지 않고 손에 헤먹기가 쉽다. 요렇게 꼭 알맞는 것은 좀체로 만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나는 비로소 마음이 확 풀렸다. 그리고 그 노인에 대한 내 태도를 뉘우쳤다. 참으로 미안했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죽기(竹器)는 혹 대쪽이 떨어지면 쪽을 대고 물수건으로 겉을 씻고 또 뜨거운 인두로 대리면 다시 붙어서 좀체로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요새 죽기는 대쪽이 한 번 떨어지기 시작하면 걷잡을 수가 없다. 예전에는 죽기에 대를 붙일 때, 질 좋은 부레를 잘 녹여서 흠뻑 칠한 뒤에 볕에 쪼여 말린다. 이렇게 하기를 세 번 한 뒤에 비로소 붙인다. 이것을 소라붙인다고 한다. 물론 날짜가 걸린다. 그러나 견고하지가 못하다. 그렇지만 요새 남이 보지고 않는 것을 며칠씩 걸려가며 소라붙일 사람이 있을 것 같지 않다.
약재(藥材)만 해도 그렇다. 옛날에는 숙지황(熟地黃)을 사면 보통 것은 얼마, 윗길은 얼마 값으로 구별했고, 구증구포(九蒸九(불화변의 포)包)한 것은 세배 이상 비싸다. 구중구포란 아홉 번 쪄낸 것이다. 눈으로 봐서는 다섯 번을 쪘는지 열 번을 쪘는지 알 수 가 없다. 말을 믿고 사는 것이다. 신용이다. 지금은 그런 말 조차 없다. 어느 누가 남이 보지도 않는데 아홉번씩 찔 이도 없고, 또 그것을 믿고 세 배씩 값을 줄 사람도 없다.
옛날 사람들은 흥정은 흥정이요, 생계는 생계지만, 물건을 만드는 그 순간만은 오직 아름다운 물건을 만든다는 그것에만 열중했다. 그리고 스스로 보람을 느꼈다. 그렇게 순수하게 심혈을 기울여 공예미술품을 만들어 냈다. 이 방망이도 그런 심정에서 만들었을 것이다. 나는 그 노인에 대해서 죄를 지은 것 같은 괴로움을 느꼈다. '그 따위로 해서 무슨 장사를 해 먹는담'하던 말은 '그런 노인이 나 같은 청년에게 멸시와 증오를 받는 세상에서 어떻게 아름다운 물건이 탄생할 수 있담'하는 말로 바뀌어 졌다.
나는 그 노인을 찾아가서 추탕에 탁주라도 대접하며 진심으로 사과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 다음 일요일에 상경하는 길로 그 노인을 찾았다. 그러나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노인은 와 있지 아니했다. 나는 그 노인이 앉았던 자리에 멍하니 서 있었다. 허전하고 서운했다. 내 마음은 사과드릴 길이 없어 안타까웠다. 맞은편 동대문의 지붕 추녀를 바라다보았다. 푸른 창공에 날아갈 듯한 추녀 끝으로 흰 구름이 피어 나고 있었다. 아, 그때 그 노인이 저 구름을 보고 있었구나. 열심히 방망이를 깎다가 우연히 추녀 끝의 구름을 바라보던 노인의 거룩한 모습이 떠올랐다. 나는 '채국동리부(採菊東籬不)다가 유연결남산(悠然見南山)!' 도연명(陶淵明)의 시구가 새어 나왔다.
오늘 안에 들어갔더니 며느리가 북어자반을 뜯고 있었다. 전에 더덕북어를 방망이로 쿵쿵 두들겨서 먹던 생각이 난다. 방망이 구경한지도 참 오래다. 요새는 다듬이질 하는 소리도 들을 수가 없다. '만호도의성(萬戶(재방변의 도)燾衣聲)이니 위군초야도의성(爲君秋夜(재방변의 도)燾衣聲)'이니 애수(哀愁)를 자아내던 그 소리도 사라진 지 이미 오래다. 문득 40년 전 방망이 깎던 노인의 모습이 떠오른다.
윤오영 [尹五榮, 1907~1976]
수필 창작과 이론전개에 힘써 현대 수필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수필가이다. 호는 치옹(痴翁)·동매실주인(桐梅室主人)이다. 1907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며, 경기도 양평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1928년 양정고보(養正高普)를 졸업했으며, 보성고보(普成高普)에서 20여 년 동안 교직생활을 했다.
1959년 문학잡지인 《현대문학》에 수필 《측상락(厠上樂)》을 발표한 이래 본격적으로 수필을 쓰기 시작해 한국적 정서를 바탕으로 한 아름다운 수필을 많이 발표했다. 50세가 지난 후 수필을 발표하기 시작해 20여 년 동안 수필과 평론을 끊임없이 발표해 필봉에 신이 들었다고 할 정도로 문단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달밤》 《방망이 깎던 노인》 《마고자》 《양잠설》 《온돌의 정》 《곶감과 수필》 등 주옥같은 작품을 발표하는 한편, 1972년 3월에 창간된 《수필문학》에 《수필문학의 첫걸음》과 《수필문학강론》을 연재하고, 이론서인 《수필문학입문》 등을 통해 수필문학관을 피력하며 수필문학의 이론정립에도 힘을 기울였다. 수필은 문학의 한 장르이므로 잡문이나 만필(漫筆)과는 구분되어야 하며, 타장르의 작가들처럼 습작과 문장수련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1974년 10여 년 동안 발표한 작품을 엄선해서 첫 수필집 《고독의 반추》를 출판함으로써 한국 수필문학의 새로운 이정표를 마련했다. 주변의 모든 사물을 동양고전의 세계에 접합시켜 독특한 정취를 이룬 작품들은 전통에 연결된 우리 글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실증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특히 내간체의 특장을 잘 살린 간결하고 절제된 문체와 시각적 이미지가 빼어난 서정적인 문장은 여백의 함축미가 돋보이는 개성적인 작품세계를 이루어낸 것으로 높이 평가된다.
저서에 《수필문학강론》 《수필문학입문》 등의 이론서와 수필집 《고독의 반추》 《방망이 깎던 노인》 《조약돌》 등이 있고, 주요논문으로 〈노계가사의 재평가〉 〈동양윤리고(東洋倫理考)〉 〈구지가〉 〈아리랑〉 〈춘향전〉 〈연암문장〉 등이 있다.
'수필(신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밥에 대한 단상 / 김훈 (0) | 2010.01.31 |
---|---|
아버지의 자리 / 신재한/ 시인, 자유기고가 (0) | 2010.01.31 |
슬픔이 시인을 만든다 / 정일근 (시인) (0) | 2010.01.31 |
사랑밭에서 / 권태하 (0) | 2010.01.31 |
수필의 처음과 끝 (0) | 2010.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