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호승-'무지개 떡'과 시의 발견 정호승-'무지개 떡'과 시의 발견 신문에서 네모난 수박에 관한 기사를 읽었습니다. 본질적인 개념이 부서진 것에 전 놀랐습니다. 수박의 입장에서 생각하면 네모나게 만들어지기 위해서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그 두 가지를 생각했습니다. 첫번째것을, 먼저 말씀드리면 그냥 일반적이고 .. 詩(時調)창작법 2012.08.14
시의 틀과 말의 변주(變奏) 시의 틀과 말의 변주(變奏) ―『갈대 속의 비비새』를 읽으며 宋在英 (충남대 불문과 명예교수, 문학평론가, 문학박사) 1 주근옥의 『갈대 속의 비비새』를 주의 깊게 읽으면서 나는 뜻밖의 경이로움과 미묘한 감동을 경험하여야만 했다. 왜 그랬을까? 지난 해 발표된 이 시인의 『바퀴 위.. 詩(時調)창작법 2012.08.14
물음표를 붙이거나 혹은 마침표를 찍거나 물음표를 붙이거나 혹은 마침표를 찍거나 ― 현실 대응의 몇 가지 방식에 관하여 이 성 우 {숨은 신}에서 루시앙 골드만은, 세상이 거짓과 부패에 빠져 있을 때 차마 현실에 굽히고 들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선택할 수 있는 세 가지의 길에 대해 말한 바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세상의 저.. 詩(時調)창작법 2012.08.12
나는 왜 시를 쓰는가 / 신 경 림 나는 왜 시를 쓰는가 / 신 경 림 1) 민중의 삶에 뿌리박은 시 제가 소위 문단이라는 데를 나온 지 어느새 20년이 더 넘었습니다. 저는 처음 문단에 나와서 2,3년 글을 썼을 뿐 그후 10여년을 문단이라든가 글과는 인연을 끊고 시골에서 떠돌이생활을 했습니다. 부끄러운 얘기입니다만 제가 무.. 詩(時調)창작법 2012.08.12
시를 쓰는 세 단계 - 이형기 시인 창작법 참고 시를 쓰는 세 단계 - 이형기 시인 창작법 참고 영국의 시인이자 시론가인 루이스가 쓴 <젊은이를 위한 시>라는 책을 참고하여 이 형기님은 시를 쓰는 단계를 다음과 같이 3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첫 번째는 "시의 종자"를 얻는 단계이고, 두 번째는 이 종자가 시인 정신 내부.. 詩(時調)창작법 2012.08.12
시는 설명하지 않는다. 시는 설명하지 않는다. 1. 시는 설명하듯이 쓰는 것이 아니라 한 순간을 보여주는 것이다. 여기 한 중학생이 쓴 시를 읽고 시를 어떻게 써야 할지 생각해 보자. 모자 합천중 2년(남) 어느날 같은 통로에 사시는 아주머니가 우리 집에 오셨다. 그 아주머니는 한 종이백을 들고 오셨다. 그리고.. 詩(時調)창작법 2012.08.12
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 할 표현들 시 창작 초기에 나타나는 고쳐야 할 표현들 1. 피상적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아이들이 그림 그리는 모습을 살펴보면 재미있는 현상을 발견할 때가 있다. 화폭에 산, 나무 들, 꽃, 하늘, 사람의 밑그림을 연필로 그려놓고, 나무는 고동색, 나뭇잎은 초록색, 하늘은 푸른색 이런 식으로 화.. 詩(時調)창작법 2012.08.12
시창작 노트 / 정일근 시창작 노트 / 정일근 1. 슬픔이 시인을 만든다 나를 시인으로 만든 것은 "슬픔"이었다. 그 슬픔에 힘입어 처음 "시인이 돼야겠다"는 꿈을 가진 것은 초등학교 5학년 때였다. 그 전 해 4월, 벚꽃의 도시 진해에서 나는 "아비 없는 자식"이 되었다. 아버지가 없는 빈자리에 제일 먼저 슬픔이 찾.. 詩(時調)창작법 2012.08.11
이 시대의 죽음 또는 우화 / 오규원 이 시대의 죽음 또는 우화 / 오규원 죽음은 버스를 타러 가다가 걷기가 귀찮아서 택시를 탔다 나는 할 일이 많아 죽음은 쉽게 택시를 탄 이유를 찾았다 죽음은 일을 하다가 일보다 우선 한 잔 하기로 했다 생각해 보기 전에 우선 한 잔 하고 한 잔 하다가 취하면 내일 생각해 보기로 했다 .. 詩(時調)창작법 2012.08.11
고두미 마을에서/ 도종환 고두미 마을에서/ 도종환 - 부제 :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선생 사당을 다녀오며 - 이 땅의 삼월 고두미 마을에 눈이 내린다. 오동나무함에 들려 국경선을 넘어 오던 한줌의 유골 같은 푸스스한 눈발이 동력골을 넘어 이곳에 내려온다. 꽃뫼 마을 고령 신씨도 이제는 아니 오고 금초하.. 詩(時調)창작법 2012.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