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좋은 시를 쓰고 싶어하는 여러분에게 더 좋은 시를 쓰고 싶어하는 여러분에게 이승하(시인. 중앙대 문창과 교수) 아래는 시인 이진우 씨가 운영하는 문학 웹진 시인학교(www.poetschool.net)에서 퍼온 글입니다. <이오.李烏 >라는 분이 올린 것이고, 제목은 '위선환 시인의 방에서 옮긴 글'입니다. 1) 한 작품에 많은 사연을 담지 말것. 한 편의.. 詩(時調)창작법 2010.01.24
시의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이승하 (시인 , 중앙대교수) 시의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가 / 이승하 (시인 , 중앙대교수) 21세기가 된 지도 1년이 지났다. 우리 시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문예지가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일반 독자는 좋은 시가 없다며 문예지와 시집을 외면하고 있다. 간혹 큰 서점에 가보면 시집 코너는 늘 한산하고, 간혹 손님이 계산대.. 詩(時調)창작법 2010.01.24
재미있는 시를 찾아서 / 이승하 재미있는 시를 찾아서 / 이승하 문정희의 [성공시대] 오세영의 [욕정] 최동호의 [해골바가지 두드리면 세상이 화창하다] 최정애의 [아기 되던 날] 원구식의 [서울야곡 2002ㅡVer.3.0] 함순례의 [사랑법] 조정인의 [지하드]를 중심으로 논의해본다. 재미가 없는 시가 너무 많다. 내가 맛보고 싶은 시의 재미는 .. 詩(時調)창작법 2010.01.24
글을 '쓸'것인가, '칠' 것인가? / 안도현 글을 '쓸'것인가, '칠' 것인가? / 안도현 육필의 힘은 언제나 나를 압도한다. 서울 남산 아래에 있는 '문학의 집'에서 문인들의 육필 전시회가 열린 적이 있었다. 거기에서 본 소설가 김주영 선생의 원고가 잊혀지지 않는다. 그분의 원고는 원고지 칸을 또박또박 채운 게 아니라, 백지의 여백을 빈틈없이 .. 詩(時調)창작법 2010.01.24
언어적 '섬'에 갇힌 詩들 / 백현국 (시인. 평론가) 언어적 '섬'에 갇힌 詩들 / 백현국 (시인. 평론가) 모더니즘 작가들이 詩的으로 독특한 스타일을 보이는 것은 시적 '상상력의 확대'와 관련 있다고 믿는다. 물론 이는 시적 스타일과 내용을 말하는 것이다. 때로는 특이하고 다소 기벽스러운 패러디처럼 보이기도 하는 이러한 것들은, 그 개별적이고 특.. 詩(時調)창작법 2010.01.24
[문성해]-외곽의 힘 [문성해]-외곽의 힘 도시의 외곽에는 짐승들이 산다 동쪽에는 개들이 서쪽에는 오리와 타조들이 사료더미를 지고 오는 구레나룻 사내들보다 건장하게 자란다 신도시라 이름하는 이 도시에는 걸리적거린다 하여 전봇대들도 다 땅 속에 숨겨져 있다 공원과 분수가 넘쳐나는 거리 애완견을 모시고 나온 .. 詩(時調)창작법 2010.01.24
그리움을 길어올리는 물빛 두레박 (시인의 산문) 그리움을 길어올리는 물빛 두레박 (시인의 산문) 한택수시인 1. 가을빛이 내게 비추어져서 가을빛이 비친다. 여름 햇볕보다 여리게 그러나 그것은 나직하고 은근하다. 여름볕이 정수리 위에서 짓누른다면 가을 햇볕은 산을 넘고 강을 건너 멀리서 오는 볕이다. 가을의 여린 햇볕은 잠자리를 하늘 가장.. 詩(時調)창작법 2010.01.05
[기획] 시인의 요절과 마지막 시 2 [기획] 시인의 요절과 마지막 시 2 계간 시인세계 진이정 / 나의 우파니샤드는 거꾸로 선 현실이다 - 차창룡 시인 진이정 시인진이정 형이 세상을 떠난 지 10년이 다 되어간다. 그와 함께 했던 시간들이 아직도 추억이 될 수 있을까? “내겐 추억 없다/찰나 찰나 연소할 뿐”(「추억 거지」)이라는 형의 .. 詩(時調)창작법 2010.01.05
[기획] 시인의 요절과 마지막 시 1 [기획] 시인의 요절과 마지막 시 1 계간 시인세계 박정만 / 나는 사라진다 저 광활한 우주 속으로 - 김영석 시인 박정만 시인박정만은 나와 아주 가까이 지낸 친구이기도 했지만 학교로 따지면 그는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까지 내리 같은 학교를 다닌 3년 후배다. 대학에서 처음 그를 만났을 때 나는 .. 詩(時調)창작법 2010.01.05
[기획2] 신춘문예 우리 문학사에 어떻게 기여했나 [기획2] 신춘문예 우리 문학사에 어떻게 기여했나 계간시인세계 신춘문예 우리 문학사에 어떻게 기여했나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이 재 복 | 문학평론가 신춘문예의 시작은 우리 신문의 창간과 맥을 같이한다. 매일신보가 창간된 것은 1910년이고 신춘문예가 시행된 것은 1920년이다. 매일신보의 .. 詩(時調)창작법 2010.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