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바벨탑 / 정성수 우리들의 바벨탑 / 정성수 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돈 돈돈돈돈돈 돈돈돈돈 돈돈돈 돈돈 돈 시집<세상에서 가장 짧은 시>2009. 월간문학 ♣ 詩그리고詩/1,000詩필사 2010.02.03
[2009 전북도민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배롱나무꽃 / 정성수 [2009 전북도민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배롱나무꽃 / 정성수 오백 살 배롱나무가 선국사 앞마당에 가부좌를 틀고 있다. 염화시중의 미소를 띠고서 여름밤 폭죽처럼 피워 낸 저 붉은 꽃들. 깡마른 탁발승이 설법을 뿜어내는지 인연의 끈을 놓는 아픔이었는지 이승에서 속절없이 사리舍利들을 토해내고 .. 신춘문예 당선詩 2010.02.03
[2009 경남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무등산 오르기 / 박정이 [2009 경남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무등산 오르기 / 박정이 무등을 오르면 산을 오른다는 생각이 나지 않는다 가장 편안한 어린 시절의 우리 아버지의 등이거나 할아버지의 등이다 밖으로 나가 일하시다가 돌아 온 아버지는 언제나 그 등을 내게다 허락 하시고 나는 세상을 나가지 못했지만 그 등을 .. 신춘문예 당선詩 2010.02.03
[2009 13회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당선작] - 냄비 속의 여자 / 강성남 [2009 13회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당선작] 냄비 속의 여자 / 강성남 1 화기를 가하는 건 늘 내부 쪽이다 잊으려 하면 할수록 불은 두꺼운 바닥을 투과하여 이마까지 달군다 속이 비치는 뚜껑 꽃망울처럼 부푼 목젖과 허파 밑으로 드나드는 바람이 보인다 방울토마토 같은 레몬 같은 타이레놀 같은 둥근 시.. 신춘문예 당선詩 2010.02.03
[2009 강원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 관계 1 / 유태안 [2009 강원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관계 1 / 유태안 드라마를 보며 사과를 깎는다 사각사각 빨간 스토리가 벗겨지며 드라마는 색이 노랗게 변해 버린다 빨간 표피가 접시 위로 길처럼 흘러내린다 빨간 표피와 당도의 관계처럼 아내의 웃는 표정 뒤에 행복은 얼마나 될까? 먹기 알맞게 분할되어 접시에 .. 신춘문예 당선詩 2010.02.03
[2009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 증명사진 / 김재준 [2009 광주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증명사진 / 김재준 창문 밖의 풍향계는 한사코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머리를 곧추 세우며 떨고 있다 매서운 날들이 나를 후려왔듯이 바람의 거친 속도가 철봉 위에 다만 놓여있을 뿐인 저 화살을 어디론가 날아가게 하고 있는지도 모를 일이다 요동을 치며 제 자.. 신춘문예 당선詩 2010.02.03
[2009 경상일보 시 당선작]-골목 안으로 열리는 봄날의 동화(童話) / 정원 [2009 경상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골목 안으로 열리는 봄날의 동화(童話) / 정원 봄은 아이들 시린 손끝에서 왔다 골목 안은, 어김없이 가위질 소리로 짤랑거리고 덩달아 온 세상 흰 밥풀꽃 가득한 뻥튀기 소리 와아, 골목 안 가득 풀려나오면 햇살처럼 환하게 웃음이 되는 아이들 달그락달그락 알사.. 신춘문예 당선詩 2010.02.03
나팔꽃 외 2편 / 이정자 나팔꽃 외 2편 / 이정자 나팔꽃의 꽃말이 덧없는 사랑, 허무한 사랑인 것은 한 번도 가닿지 못한 언제나 마음뿐인 혼자 사랑이기 때문이다 저 홀로 생각하며 꽃을 피우다, 아니다 싶으면 이내 접어버리는 그러다가도 떨치지 못한 미련이 집착으로 남아 외줄타기를 하는 까닭이다 마음의 바지랑대를 칭.. ♣ 詩그리고詩/1,000詩필사 2010.02.03
늦게 온 소포 / 고두현 늦게 온 소포 / 고두현 밤에 온 소포를 받고 문 닫지 못한다. 서투른 글씨로 동여맨 겹겹의 매듭마다 주름진 손마디 한데 묶여 도착한 어머님 겨울 안부, 남쪽 섬 먼 길을 해풍도 마르지 않고 바삐 왔구나 울타리 없는 곳에 혼자 남아 빈 지붕만 지키는 쓸쓸함 두터운 마분지에 싸고 또 싸서 속엣것보다 .. ♣ 詩그리고詩/1,000詩필사 2010.02.03
[한국문학방송 신춘문예] 시 당선작 [한국문학방송 신춘문예] 시 당선작 한 삽의 흙 외 4편 / 하상만 땅을 한 삽 퍼서 화분에 담으니 화분이 넘친다 한 삽의 흙이 화분의 전부인 것이다 언젠가 길거리에서 물을 먹고 있는 화분을 지켜보았다 물을 빨아들이고 있는 것은 한 송이 꽃이었다 꽃에게는 화분이 전부였다 한 송이 꽃을 피우기 위.. 신춘문예 당선詩 2010.02.03